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캐딜락
- Mac
- 직구
- 해외직구
- ReactNative
- Slack
- MySQL
- 알리
- 슬랙사용법
- 인테리어
- S3
- 장애
- docker
- PostgreSQL
- 스마트에너지미터
- M1
- 싱크대
- catalina
- 슬랙
- 머신러닝
- CTS
- 슬랙활용
- vagrant
- Xcode
- virtualbox
- 알리익스프레스
- 예인싱크
- 셀프인테리어
- seria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ron (1)
MoreLean
리눅스 머신을 관리할때, cron의 스케줄링 환경설정도 같이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 내가 쓰는 방법이다. 일단, 시스템 설정등은 git으로 통합 관리한다. 디렉토리 구성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push 라는 서버군의 D(dev), S(stage), P(production) 서버 환경마다 다른 cron 설정을 관리한다. ) 이렇게 설정된 git repository를 서버에서 git clone 해놓는다. cron은 각 계정별로도 스케줄 파일을 관리하는데, /var/spool/cron 에 계정이름과 동일한 파일로 관리하고 있다. 기본 파일을 삭제후 #> rm /var/spool/cron/baas #> ln -s /data/_system/conf/push/D/manage/cron/baas /..
Programmer/Linux
2013. 7. 17. 11:24